DEV/DevelopSystem 5

[craco.js] babel-plugin-styled-components 적용하기

const craco.js에서 babel-plugin-styled-components 적용하기 = ( Param ) => {💻 return Result;// craco.config.js// eslint-disable-next-line no-undefmodule.exports = { plugins: [ // craco를 통한 절대 경로 설정 등 webpack에 적용할 플러그인 정의 // ... ], babel: { plugins: [ // styled-components 플러그인 추가 [ 'babel-plugin-styled-components', { // eslint-disable-next-line no-undef ..

DEV/DevelopSystem 2025.01.28

[git] 다른 저장소에서 commit 가져오기 (cherry-pick)

const 다른 저장소에서 commit 가져오기 = ( cherry-pick ) => {💻 return Result;# 가져올 커밋이 존재하는 repo 추가$ git remote add # 커밋 해시 확인하기$ git log /# 확인한 커밋 cherry-pick$ git cherry-pick  📝 console.log( history ) 회사 프로젝트 진행 중 기존에 존재하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할 상황이 생겼다. 두 프로젝트의 공통된 부분이 한쪽 프로젝트에서 진행되면 다른 프로젝트에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통부분을 어떻게 업데이트할지 고민했다.  공통된 부분을 기반으로 두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git 저장소에서 브랜치를 통해 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법이 ..

DEV/DevelopSystem 2024.11.17

[Vite.js] 모드에 따라 빌드 환경 변수 및 결과 폴더 변경

const 모드에 따라 빌드 환경 변수 및 결과 폴더 변경 = ( Param ) => {💻 return Result;필요 모드에 따라 환경 변수 파일 나누기# .env (기본 환경 변수)# .env를 베이스로 다른 모드의 환경 변수가 덮어 씌워짐VITE_APP_TITLE=DefaultENV# .env.production (빌드시 환경 변수)# .env를 베이스로 빌드시 따로 변경이 필요한 환경변수 정의VITE_APP_TITLE=BuildENV# .env.prod-2 (커스텀 빌드 환경 변수)# .env를 베이스로 prod-2에 대한 환경 변수 적용VITE_APP_TITLE=Prod2ENV 모드에 따라서 빌드 저장 폴더 바꾸기// vite.config.jsimport { defineConfig } fro..

DEV/DevelopSystem 2024.08.13

[Env] Prettier Configuration File 적용

💻 결과 Project ㄴnode_module ㄴsrc ㄴ.prettierrc 프로젝트 Root 폴더에서 .prettierrc 파일을 생성한다. { "arrowParens": "always", "printWidth": 120, "semi": true, "tabWidth": 4, "useTabs": true } JSON형식으로 필요한 Configuration을 작성한다. 설정참고: https://prettier.io/docs/en/configuration Prettier · Opinionated Code Formatter Opinionated Code Formatter prettier.io 프로젝트 별 Prettier 설정 완료. 📝 console.log(history) 회사 프로젝트를 하다 보니 이전 프..

DEV/DevelopSystem 2024.03.08

[git] 원격 커밋 삭제하기

💻 결과 $ git reabse -i HEAD~3 현재 체크아웃된 위치에서 수정해야 할 커밋 범위를 지정한다. (HEAD~개수) pick 7b778ab Summary 페이지 생성 pick ace7464 Summary 클래스 추가 drop 89217d0 WIP SummaryAccount 상단에 불러온 커밋들 중에서 제거하고 싶은 커밋의 앞에 명시된 값을 pick에서 drop으로 변경하고 저장 후 빠져나온다. (vi 명령어 사용) · vi 명령어 순서 1. i 키를 눌러 입력모드 전환 2. 필요한 부분 수정 3. esc 키를 눌러 명령모드 전환 4. : 키를 눌러 마지막 행 모드 전환 후 wq 명령어를 입력하여 저장 후 종료 $ git push -f origin main 현재 커밋의 변경된 사항을 원격 서버..

DEV/DevelopSystem 20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