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드 2

[React.js] 빌드 후 환경변수 수정

const 빌드 후 환경변수 수정 = ( Param ) => {💻 return Result;env.js 파일 생성// public/env.js// 전역에 선언되기 때문에 window 객체를 통해 참조할 수 있음export const env = {    ...import.meta.env, // vite 환경변수 값    ...window["env"], // 전역에 저장된 이전 환경변수 값 // 필요 환경 변수 정의 BASE_URL: "http://localhost:3000"}; index.html에서 script 태그를 통해 env.js 선언  env.js의 환경변수 적용//App.jsximport env from "../public/env"...return ( {env.BASE_URL} {env...

DEV/WebProgramming 2024.07.12

[React] 프로젝트 빌드 및 배포

인프런, 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의 내용 중 프로젝트 빌드 및 배포에 대해 내용을 정리한다. 목차 1. 프로젝트 빌드하기 2. Firebase를 이용하여 배포하기 프로젝트 빌드하기 프로젝트 배포에 앞서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파일을 추리고 파일 내용의 각종 공백을 삭제함으로써 용량을 줄여 압축하는 빌드 작업이 필요하다. pakage.json 파일에서 스크립트에 build 명령어가 존재한다. 해당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를 빌드한다. serve 명령어를 통해 로컬에 배포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다. serve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글로벌 플래그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만약 배포된 파일에서 수정이 필요하다면 프로젝트 수정 후 다시 빌드하여 배포한다. ..

DEV/WebProgramming 2022.07.12